i. 경제이론이란?
이론의 의미
▪ 모든 걸 다 고려하거나 모든 상황에 맞게 하는 것이 아님
▪ 어떤 가정을 한 상태에서 중요 변수들만 끌어다가 하나의 이론을 만든 것
▪ 大數의 법칙(law of large numbers)을 따름 : 대부분의 사람은 이렇게 행동함
→ 좋은 상황을 만들기 위함이 바탕 : 문제의 원인을 밝혀 그 과정을 역류해 치료 방안을 제시
ii. 경제모형
경제모형의 기본골격
▪ 변수 + 가정 = 가설
① 변수 : 어떤 상황을 만들어내는 여러 가지 요인들 중 중요 요인
② 가정 : ~하다면 ~하다
③ 가설 : 이론화 하기전 통계학을 통해 검증
→ 상관관계 : 한 변수와 다른 변수 사이에 어떤 체계적인 관계가 있을 때 (관계만)
→ 인과관계 : 한 변수에 생긴 변화가 다른 변수의 변화를 유발하는 원인과 결과의 관계
iii. 경제이론의 구분
경제는 크게 두 파트로 나누어져 있음
미시경제이론 | ▪ 나무 하나 하나에 대해 바라 봄 ▪ 국민경제를 구성하는 개별 경제주체의 선택과 개별 시장의 움직임에 관심의 초점 ▪ 개별적인 상품과 생산요소에 대한 수요와 공급 |
거시경제이론 | ▪ 나무를 전부 모아 숲의 모양을 읽어가는 것 ▪ 경제 전반의 움직임에 관심 (총생산량, 총고용량, 물가수준, 국제수지 등) |
→ 수요공급 그래프를 그릴 때 그 제품의 가격과 그 제품의 양적인 면에서 수요공급을 이야기함
→ 개별 상품을의 가격이 모이면 한 나라 경제 안에서 "물가"로서 작용. 각 제품의 생산량이 모이면 한 나라 경제 안에서의 "국민총생산"
IV. 경제학적 사고의 기초
경제학적 사고의 기초
① 이 세상에 공짜는 없다
② 교환은 모두에게 이득이 된다
③ 수요와 공급의 힘을 거스르기는 힘들다
④ 마지막 하나가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 보아야 한다
⑤ 사람들은 유인에 민감한 반응을 보인다
⑥ 시장은 효율적이지만 완벽하지 않다
⑦ 정부가 유용한 역할을 할 수 있지만 문제를 더 악화시키기도 한다
⑧ 한꺼번에 효율성과 공평성의 두 마리 토끼를 쫓기는 어렵다
⑨ 물가 안정과 고용 안정을 동시에 달성하기는 매우 어렵다
🌻 두 줄 요약
경제이론은 중요한 변수들을 고려해 문제를 분석하고 해결 방안을 제시하며, 경제모형은 이를 가설로 만들어 검증하는 도구이다. 경제는 미시경제와 거시경제로 나누어 개별 시장(행위)과 전체 경제(움직임)를 설명한다.
By. 국민대학교 경영학 유은나 교수님 "경제학개론" 강의 수강
'Management > Other.' 카테고리의 다른 글
[미시경제] 06.완전경쟁과 불완전경쟁 (5) | 2024.08.31 |
---|---|
[미시경제] 05.기업의 생산활동 (5) | 2024.08.26 |
[미시경제] 04.소비자 선택 (1) | 2024.08.25 |
[미시경제] 03.시장의 균형점 (2) | 2024.08.23 |
[경제학개론] 01.경제학이란? (1) | 2024.08.1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