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 경제학의 기본 성격
경제학의 의미
▪ 인간의 물질적 욕구(수요)에 맞서는 자원이 희소하기 때문에(공급측면) 가장 최적의(합리적인) 선택을 해나가야 함
▪ "합리적인 선택 = 최소로 최고의 효과를 얻는 것" 이 과정이 경제
→ Needs(기능적 욕구, 제한적) + wants(비기능적 욕구, 무궁무진) = 수요
→ 사용수요를 계속 일으켜서 거기에 맞춰 공급을 해줘야 함.
→ 수요를 창출하는 측면에서 욕구를 해석
ii. 합리적 선택의 기초
경제 = 최소 비용으로 최대 효과
▪ 회계비용 : 실제로 지출된 갖가지 명목의 비용
▪ 기회비용 : 그 행위를 선택함으로 인해 포기해야 하는 여러 행위 중 가장 큰 가치를 갖는 행위의 가치로 측정
▪ 매몰비용 : 일단 지출된 뒤에는 다시 회수 할 수 없는 비용
→ 경제의 모든 이론은 합리성을 전제로 가져감
iii. 경제적 자원과 생산가능곡선
자원

→ 자유재 : 리미티드 / 경제재 : 언리미티드 (희소성이 어느 정도 있음)
→ 생산요소 : 경제재에서 생산에 투입되는 요소
→ 자본 : 천연 상태에서 인위적 힘을 가한 것 ( 베어 진 나무, 공장 건물, 기계... )
생산가능 곡선
▪ (제한 된 자원을 가지고) 한 경제에서 최대한으로 생산해 낼 수 있는 상품의 조합을 나타내는 곡선
▪ 확대 되는 현상 : 경제 성장 → 자원 발견, 기술의 성장 등으로 경제 성장을 이룰 수 있음
IV. 국민경제의 기본골격
세 경제주체

세 주요 과제
① 무엇을 생산할 것인가? - what
② 어떤 방법으로 생산할 것인가? - how
③ 생산한 상품을 누구에게 배분할 것인가? - for whom
V. 시장과 가격
시장경제
▪ 시장 경제 : 시장이 모든 경제 활동의 중심이 되는 경제체제 / 가격이 시장에서 자유로이 결정
▪ 통제경제 : 정부의 통제가 중요한 역할을 하는 경제체제 / 가격이 계획당국에 의해 인위적으로 결정
▪ 혼합경제 : 시장과 정부가 함께 중요한 역할 수행
가격기구
▪ 스미스(A. Smith)의 ‘보이지 않는 손’ (invisible hand) = 시장경제의 가격 기구(price mechanism)
보이지 않는 손(invisible hand)은 18세기 영국의 경제학자 애덤 스미스가 저서 《국부론(The Wealth of Nations)》에서 언급한 유명한 비유로, 시장 경제에서 개인들이 자신의 이익을 추구하면서도 의도치 않게 사회 전체의 이익을 증진시키는 것을 말한다. 전체 경제는 자발적으로 조화를 이루고 번영할 수 있다는 것이 이 개념에 핵심이다.
🌻 세 줄 요약
경제학은 자원이 한정된 상황에서 합리적인 선택을 통해 최대의 효율을 추구하는 학문이다. 국민경제는 '무엇을, 어떻게, 누구를 위해' 생산할 것인가를 핵심 과제로 삼으며, 시장 경제에서는 가격 메커니즘이 중심적인 역할을 한다. '보이지 않는 손'은 개인이 자신의 이익을 추구하는 과정이 결과적으로 사회 전체의 이익이 증진으로 이어짐을 설명한다.
By. 국민대학교 경영학 유은나 교수님 "경제학개론" 강의 수강
'Management > Other.' 카테고리의 다른 글
[미시경제] 06.완전경쟁과 불완전경쟁 (5) | 2024.08.31 |
---|---|
[미시경제] 05.기업의 생산활동 (5) | 2024.08.26 |
[미시경제] 04.소비자 선택 (1) | 2024.08.25 |
[미시경제] 03.시장의 균형점 (2) | 2024.08.23 |
[경제학개론] 02.경제이론이란? (0) | 2024.08.2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