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 기업이란?
기업 존재 의의
① 거래비용의 절감 (기업이 없으면 개인이 모든 부품을 찾아 협상·구입·조립···)
② 규모의 경제 (규모가 클수록 개당비용이 감소)
③ 팀에 의한 생산의 이점 ( 생산량 : 혼자 모든 일 < 각자 전문화, 분업화 )
④ 생산에 필요한 재원의 조달 (규모가 클수록 투자금을 많이 받을 수 있음)
기업이 추구하는 목표
▪ 이윤극대화
→ 이윤(profit) = 수입(revenue) - 비용(cost)
ii. 생산기술
기업은 여러가지 생산요소를 결합해 상품을 제작·판매
생산요소
▪ 생산과정에 투입되는 모든 것들
ㄴ 가변투입요소 (ex. 노동력, 원자재 등 / 생산량에 비례적으로 투입되는 요소)
ㄴ 고정투입요소 (ex. 공장,기계,조리기구 등 / 생산량과 상관없이 일정하게 투입되는 요소)
한계생산
▪ 노동을 한 단위 더 투입한 결과 얻을 수 있는 생산량의 증가분
▪ 한계생산체감의 법칙 or 수확체감의 법칙
ㄴ 적정인원 이상의 노동력이 투입되면 시너지가 나지 않고 생산량이 체감적으로 증가

iii. 생산비용
기회비용
▪ 회계비용 = 실제로 지출된 것
▪ 기회비용 = 눈에 보이지 않는 암묵적 비용까지 포함
→ 경영·경제상에서 비용이다 이야기 할 때는 항상 기회비용을 고려해야 함
여러 가지 생산비용의 개념
총비용 | TC = FC(고정비용) + VC(가변비용) |
한계비용 | 상품 생산량을 1단위 증가시키는 데 추가적으로 드는 비용 (변동비용만 고려) |
평균비용 | 상품 한 단위당의 생산비용 (Total비용을 수량으로 나눈 것) |
iv. 규모의 경제와 범위의 경제
규모의 경제
▪ 생산의 규모가 커질수록 생산단가가 낮아질 때 (총비용은↑)
▪ 규모의 경제가 존재하는 이유
① 분업에 의한 전문화 가능
② 기술적 요인에 의해 생산의 규모가 커질수록 더욱 유리
③ 원료의 대량구입에 따른 비용의 절감
→ 규모의 불경제 : 생산이 많이할수록 개당 단가가 높아지는 경우 (ex. 수작업 시계)
범위의 경제
▪ 한 기업이 여러 상품을 동시에 생산함으로써 비용상의 이점이 생길 때
▪ 결합생산물의 경우 (ex. 쇠고기와 소가죽, 닭고기와 계란 등등)
V. 이윤극대화 생산량의 도출
한계곡선의 의한 도출 MR = MC
▪ 한계수입(MR) = 한계비용(MC)
▪ 포물선과 직선의 만남 = 점이 2개이기 때문에 제2계 조건이 존재
→ MR을 MC가 밑에서 부터 위로 뚫고 지나간다

🌻 두 줄 요약
기업의 목표는 이윤극대화이다. 이를 위해 거래 비용을 줄이고, 규모의 경제를 활용하며, 분업화를 통해 효율성을 높인다. 또한 기회비용을 고려하여 생산비용을 관리하고, 한계수입과 한계비용이 같아지는 최적의 생산량을 찾아낸다. 이러한 전략을 통해 기업은 경쟁력을 유지하고 지속 가능한 성장을 이룰 수 있다.
By. 국민대학교 경영학 유은나 교수님 "경제학개론" 강의 수강
'Management > Other.' 카테고리의 다른 글
[거시경제] 07.거시경제이론의 기초 (2) | 2024.09.01 |
---|---|
[미시경제] 06.완전경쟁과 불완전경쟁 (5) | 2024.08.31 |
[미시경제] 04.소비자 선택 (1) | 2024.08.25 |
[미시경제] 03.시장의 균형점 (2) | 2024.08.23 |
[경제학개론] 02.경제이론이란? (0) | 2024.08.2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