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 수요
수요 : 사고자 하는 세력 (욕구 자체) ⇒ 각 가격대별로 나는 얼마만큼 살 수 있어!
수요의 법칙
▪ 가격⬇️ ⇒ 수요량⬆️
→ 예외상황 : 과시적 소비, 기펜재 등
→ 하나의 수요곡선 상에서의 움직임은 변수가 가격. 나머지 변수는 모두 일정하다고 장막을 쳐 둠
수요곡선 위의 운동과 수요곡선의 이동 구별
① 수요곡선 위의 운동 : 수요량의 변화 / 가격이라는 변수에 의해서 하나의 수요곡선상에서의 움직임
② 수요곡선의 이동 : 수요의 변화 / 가격 외의 변수가 움직임에 따라 수요곡선 자체가 움직임 (ex. 소득의 증가)
→ 가격 외의 변수 : 소득(정상재, 열등재), 기호, 취미 관련 상품의 가격(대체재, 보완재), 소비자의 예상(ex. 미래에 대한 기대) 등
ii. 수요의 탄력성
수요의 탄력성
▪ 수요량을 결정하는 여러 요인(변수) 변화에 따른 수요량의 민감도
▪ 민감⬇️ : 탄력도가 낮다 / 민감⬆️ : 탄력도가 높다
수요의 가격 탄력성
▪ 수요의 가격탄력성↑ ⇒ 가격 변화에 따른 수요량의 반응↑
▪ 보편적으로 수요곡선을 통해서 탄력도를 얘기할 수는 없음 But, 예외 수요곡선 모양 : 수직선, 수평선, 쌍곡선
▪ 가격탄력성과 판매 수입
➡ 가격탄력성 > 1 = 탄력적 ⇒ 사치품
➡ 가격탄력성 < 1 = 비탄력적 ⇒ 필수품
→ 가격탄력성의 결정 요인 : 상품의 성격, 상품의 대체정도, 전체지출에서 차지하는 정도, 기간 등
수요의 소득 탄력성
① 소득탄력성 > 0 : 정상재
➡ 소득탄력성 > 1 = 사치재
➡ 소득탄력성 < 1 = 필수재
② 소득탄력성 < 0 : 열등재
iii. 공급
공급이란? 팔고자 하는 세력 : 나는 얼마만큼의 시장을 공급할 수 있어!
공급의 법칙
▪ 가격⬆️ ⇒ 공급량 ⬆️
공급곡선 위의 운동과 공급곡선의 이동 구별
① 공급곡선 위의 운동 : 가격이라는 변수에 의한 하나의 공급 곡선상에 움직임 ⇒ '공급량'의 변화
② 공급곡선의 이동 : 기타 요인의 변화에 따른 공급곡선 자체의 움직임 ⇒ '공급'의 변화
→ 기타 요인 : 투입요소의 가격, 생산기술, 산업 내의 기업 수, 미래에 대한 기대 등
iv. 시장의 균형
사려는 세력과 파려는세력의 균형점에서 거래가 이루어졌을 때 사회적으로 가장 큰 편익을 가져간다.
균형 분석의 응용 : 가격 규제의 효과
① 가격상한제 : 어떤 상품의 가격이 정부가 고시한 수준 이상으로 올라가지 못하게 만든 제도
② 가격하한제 : 어떤 상품의 가격이 정부가 고시한 수준 이하로 내려가지 못하게 만든 제도
→ 수요와 공급 자체는 어떤 여러 가지 영향에 의해서 움직이며 그때마다 균형점이 계속 바뀐다. (수급 상태를 계속 조절)
V. 증명 순사회편익
자유로운 교환이 허용될 때 극대화됨
가격상한제가 실시되면 순사회 편익은 ΔDCF′의 면적만큼 감소
순사회편익 = 소비자잉여 + 생산자잉여
① 소비자잉여 : 어떠 상품에 대해 소비자가 지급하고자 하는 최대 가격에서 실제 시장의 거래되는 가격을 뺀 차액
② 생산자잉여 : 생산자가 제품을 판매하기 위해 받고자 하는 최소 가격에서 실제 시장에서 거래되는 가격을 뺀 차액
③ 순사회편익 : 소비자잉여와 생산자잉여의 합으로, 교환으로부터 사회의 구성원들이 얻는 순편익 의미
🌻 세 줄 요약
수요는 구매 의사로, 가격이 하락하면 수요량이 증가한다. 공급은 판매 의사로, 가격이 상승하면 공급량이 증가한다. 수요와 공급의 균형점에서 거래가 이루어질 때 사회적 편익은 최대화된다. 이때 가격 규제 등의 요소는 균형을 깨뜨려 순사회 편익(소비자잉여+생산자잉여)을 감소시킬 수 있다.
By. 국민대학교 경영학 유은나 교수님 "경제학개론" 강의 수강
'Management > Other.' 카테고리의 다른 글
[미시경제] 06.완전경쟁과 불완전경쟁 (5) | 2024.08.31 |
---|---|
[미시경제] 05.기업의 생산활동 (5) | 2024.08.26 |
[미시경제] 04.소비자 선택 (1) | 2024.08.25 |
[경제학개론] 02.경제이론이란? (0) | 2024.08.23 |
[경제학개론] 01.경제학이란? (1) | 2024.08.1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