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 시장의 형태
시장형태
→ 같은 제품이어도 독점 · 과점 · 독점경쟁 · 완전경쟁시장에 따라 가격과 거래량이 틀려짐 : 효율성 비교 필요
→ 효율성 비교 방법은? 이윤극대화 점을 찾아가는 것
각 시장 형태의 특징
구분 | 완전경쟁 | 독점경쟁 | 과점 | 독점 |
시장안 기업수 | 다수 | 다수 | 소수 | 1 |
가격통제력 | 가격 수용 | 타기업에 의존적 | 있음 | price maker |
상품의 동질성 | 완전동질 | 차별화 | 동질적 혹은 차별화 | 대체 불가능 |
진입장벽 | 없음 | 거의 없음 | 상당히 높음 | 매우 높음 |
가격 이외의 경쟁요소 | 없음 | 있음 | 있음 | - |
→ 현실세계 : 독점경쟁, 과점, 독점
→ 과점의 경우 시장 안 기업수가 보통 10개 미만
ii. 완전 경쟁 시장
실제 존재 X 가장 이상적인 형태로서 하나의 잣대 역할을 함
완전경쟁시장의 요건
① 많은 수의 판매자와 구매자 - price taker
② 동질적 상품
③ 자원의 완전한 이동성 - 진입과 탈퇴의 자유
④ 완전한 정보 공유
→ 완전 경쟁 시장의 떡볶이 가게는 모든 사람들이 같은 레시피, 같은 맛을 낼 수 있어야 함
→ 또한 탈퇴의 자유가 보장 ; 매몰 비용이 제로인 시장
완전경쟁시장이 바람직한 이유
① 소비자 ⇒ P≤MB: 가격과 소비자가 얻는 편익이 크거나 같음
② 기업 ⇒ P=MC: 제품 하나를 더 만드는 추가 비용만큼 가격으로 내보냄
③ 사회 ⇒ MC=MB: 한계비용과 한계편익이 일치하는 가장 효율적인 시장
불완전경쟁이 일어나는 이유 (진입장벽)
① 규모의 경제 ⇒ 자연독점
② 정부의 정책 : 특허권 or 전매권
③ 경쟁전략
④ 정보의 부족
⑤ 그 외 등등 ..
iii. 독점시장
가장 비효율적인 시장
독점시장의 특징
① 단 하나의 공급자 (기업 = 산업)
② 대체재가 존재하지 않음
③ 완벽한 진입장벽
독점시장의 균형
① 소비자 ⇒ P ≤ MB:가격, 소비자가 얻는 편익이 크거나 같음
② 기업 ⇒ P > MC:한계비용보다 가격이 더 높음
③ 사회 ⇒ MC < MB:한계비용보다 한계편익이 훨씬 큼
IV. 증명 : 독점의 경제적 효과
독점이 완전경쟁시장에 비해 엄청나게 비효율적인 이유
비효율적 자원배분 : 후생삼각형

효용
→ 완전경쟁시장이 되려면 QC-QM만큼 늘려야 함
→ 이윤극대화를 위해 편익을 더 가져갈 수 있음에도 생산을 멈춤
분배
→ 독점경쟁시장은 생산을 감소시켜 소비자잉여가 완전경쟁시장보다 줄어들게 되고 그만큼 소수 독점의 공급자잉여가 늘어나게 됨
🌻 두 줄 요약
우리의 시장은 가장 이상적인 형태인 완전시장모델과 비교 했을 때 비효율적이다. 한계비용과 한계편익이 일치하지 않기 때문이다. 따라서 비효율적인 배분이 이루어지며, 대체로 소비자 잉여가 감소하고 공급자 잉여가 증가하는 형태를 보인다.
By. 국민대학교 경영학 유은나 교수님 "경제학개론" 강의 수강
'Management > Other.' 카테고리의 다른 글
[거시경제] 08.거시경제이론의 주요 변수 (11) | 2024.09.08 |
---|---|
[거시경제] 07.거시경제이론의 기초 (2) | 2024.09.01 |
[미시경제] 05.기업의 생산활동 (5) | 2024.08.26 |
[미시경제] 04.소비자 선택 (1) | 2024.08.25 |
[미시경제] 03.시장의 균형점 (2) | 2024.08.2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