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 국내총생산
국내총생산 (gross domestic product, GDP)
▪ 일정 기간 동안 한 나라 안에서 생산되어 최종적 용도로 사용되는 재화와 서비스의 (화폐) 가치를 모두 더한 것
▪ 국내총생산 = 최종재 가치의 합 = 부가가치의 합
▪ 한 나라의 국민이 얻는 총체적 소득 지표 / 국민의 복지수준의 정도를 나타내는 지표로 사용됨
→ 일정기간 = 보통 1년 동안
→ 외국에서 생산은 포함이 안되지만, 외국인이 국내에서 생산한 것은 포함
→ 납품한 것은 GDP에 포함되지 않음
→ 이 외에도 삼면등가의 법칙, 해외부문 도입 등 다양한 방법이 존재하지만 보통 경제에서는 GDP를 지출 측면에서 계산한 것을 많이 사용함
중간재와 부가가치
▪ 중간재 : 다른상품의 생산과정에서 사용되는 중간투입물 성격을 가진 재화와 서비스
▪ 부가가치 : 각 생산자가 생산과정에서 새로 창출한 가치
└ 부가가치 = 생산된 상품의 가치 - 사용된 중간투입물의 가치 = 생산요소의 공급 대가 + 기업의 이윤

ii. 국내총생산과 국민총생산
어떻게 GNP를 GDP로 바꿀 것이냐
국내총생산과 국민총생산
▪ 국민총생산 (GNP) : 그 나라 ‘국민’이 생산한 최종재의 가치
▪ 국내총생산 (GDP) : 한 나라 ‘영토’ 안에서 생산한 최종재의 가치

국내총생산의 개념이 갖는 한계
① 거래된 상품의 가치만을 포함
└ 가사노동, 자가생산 관련은 포함되지 않음 ⇒ 후진국으로 갈수록 자가생산이 높음
② 여가(leisure)로 소비되는 시간의 가치는 전혀 인정하지 않음.
③ 밀수, 마약거래, 사채거래 등 地下經濟(지하경제/쉐도우경제)에서 생산되는 것도 포함되지 않음.
└ 지하경제에서는 현금 사용이 높음
④ 시장에서 거래되는 상품이라 하더라도 시장가격이 진정한 가치를 제대로 반영하지 못할 경우에는 문제 발생.
└ ex. 시장에서 물건 흥정
⑤ 생산 활동과 더불어 일어나는 부작용을 전혀 고려치 않는다
└ 환경오염, 빈익빈부역부 현상, 총기 난사 사건 등 )
iii. 국내총소득과 국민총소득
국내총소득과 국민총소득
▪ UN [1993. 개정SNA] ┌─ GDP : 생산지표 (잘 사는 지표 X)
└─ GDI : 소득지표 (GNI/1인당을 사용한다 ⇒ 그 사람들이 얼마나 잘 살아?)
→ GDI = GDP + 교역조건 변화에 따른 실질무역손익
공급곡선 위의 운동과 공급곡선의 이동 구별
▪ GDI : 한나라 안에 존재하는 총 실질구매력
▪ GNI : 한나라 국민의 총실질구매력국내총생산 (GDP) : 한 나라 ‘영토’ 안에서 생산한 최종재의 가치
→ GNI = GDI + 대외순수취요소소득
iv. 명목국내총생산과 실질국내총생산
사려는 세력과 파려는세력의 균형점에서 거래가 이루어졌을 때 사회적으로 가장 큰 편익을 가져간다.
명목국내총생산 (nominal GDP)
▪ 그해 상품생산량 X 그 해 가격
▪ 국내총생산을 구하는해의 상품 생산량에 그 해의 가격을 곱해 각 상품의 시장가치를 구한 다음 이를 모두 더한 것
실질국내총생산 (real GDP)
▪ 그해 상품생산량 X 기준 년도 가격
▪ 물가변동의 효과를 제거하고 생산 활동의 추이만을 반영하게 됨
🌻 세 줄 요약
GDP는 한 나라 안에서 일정 기간 동안 생산된 최종재와 서비스의 가치를 모두 더한 것으로, 주로 1년 단위로 측정된다. 명목 GDP는 해당 연도의 가격을 반영한 것이며, 실질 GDP는 기준 연도의 가격을 사용해 물가 변동을 제외하고 생산 활동만을 반영한다. GDP와 달리 GNP는 자국 국민이 국내외에서 생산한 가치를 측정한다.
By. 국민대학교 경영학 유은나 교수님 "경제학개론" 강의 수강
'Management > Other.' 카테고리의 다른 글
[거시경제] 10.총수요-총공급모형 (3) | 2024.09.14 |
---|---|
[거시경제] 09.물가지수 (3) | 2024.09.08 |
[거시경제] 07.거시경제이론의 기초 (3) | 2024.09.01 |
[미시경제] 06.완전경쟁과 불완전경쟁 (6) | 2024.08.31 |
[미시경제] 05.기업의 생산활동 (5) | 2024.08.2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