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 경제의 자동조정기능
경제는 가장 안전한 장치다
▪ 경제는 뭔가 불안정한 상태에 들어가면 빨리 안정된 상태로 회복하려는 습성을 가지고 있음
▪ 스스로의 변수에 의해서 다시 균형을 찾아감
→ 수요의 부족과 과잉 현상은 단기적으로 나타날 수 있음
ii. 인플레이션갭이 존재할 때
임금과 다른 생산 요소들의 가격 ↑
▪ 총공급곡선이 왼쪽으로 이동 ⇒ 인플레이션갭↓ ⇒ 인플레이션갭 해소
→ 인플레이션갭 발생 과정

iii. 경기침체갭이 존재할 때
임금과 다른 생산 요소들의 가격 ↓
▪ 총공급곡선 오른쪽으로 이동 ⇒ 경기침체갭 해소
→ 경기침체갭 발생 과정

iv. 뒷받침 이론
시카고학파
▪ 고전학파 이론
▪ 불안정한 상태 → 자동조정기능 통해 스스로 빠른 시간 안에 안정상태로 회복
케인즈경제학파
▪ 유효수요 이론
▪ 불완전한 자동조정기능, 회복까지 많은 시간 소요 ⇒ 정부가 적극적으로 개입
→ 인위적으로 수요를 늘려야 함
→ 총공급은 장기적인 측면에서만 움직이기 때문에 단기적으로 총수요를 움직이는 정책을 가져가야 함
🌻 세 줄 요약
경제는 불안정한 상태에 들어가면 자동조정기능을 통해 빠르게 균형을 찾아 회복하려는 경향이 있다. 인플레이션갭과 경기침체갭은 각각 임금과 생산 요소의 가격 변화로 해소된다. 자동조정기능이 충분히 발휘될 기회를 갖는 장기에서 경제는 완전고용 상태에 도달한다.
By. 국민대학교 경영학 유은나 교수님 "경제학개론" 강의 수강
'Management > Other.' 카테고리의 다른 글
[거시경제] 14.실업과 인플레이션 (16) | 2024.09.30 |
---|---|
[거시경제] 13.보이지 않는 시장 (10) | 2024.09.30 |
[거시경제] 11.국민경제의 균형 (7) | 2024.09.30 |
[거시경제] 10.총수요-총공급모형 (3) | 2024.09.14 |
[거시경제] 09.물가지수 (3) | 2024.09.08 |